주택연금 신청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주택연금 신청방법과 함께 주택연금 수령액 조회방법, 주택연금 장점과 단점, 주택연금 해지 후 재가입에 대해서도 알려 드리겠습니다.
주택연금이 무엇인지, 주택연금 가입조건, 주택연금 지급방식 4가지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
주택연금 가입조건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과 함께 주택연금이 무엇인지와 주택연금을 지급하는 주택연금 지급방식 4가지도 알려 드리겠습니다. 주택연금 ■ 주택연금은 집을
www.jungbos.com
주택연금 수령액 조회방법
■ 주택연금 수령액은 22년 2월 1일 기준 종신 지급방식 정액형 일반주택의 경우를 예로 들면 실거래가가 3억 원인 주택을 70세에 주택연금 신청을 하면 매월 92만 6천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은 나이와 주택 가격에 비례해서 커지는데 이때 나이는 부부 중에 나이가 어린 분을 기준으로 합니다.
※ 주택연금 예상연금 조회는 한국주택금융공사 예상연금 조회 페이지에서 해 보실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장점과 단점
■ 주택연금 장점
□ 기초연금에 국민연금을 더하면 넉넉한 노후 생활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국민연금을 많이 받으면 기초연금과 연계해서 감액이 됩니다.
하지만 주택연금은 소득으로 보지 않고 주택을 담보로 한 대출로 보기 때문에 오히려 기초연금 자격을 계산할 때에 부채로 재산에서 차감됩니다.
또한 건강보험료 계산할 때에도 소득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부과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집값이 많이 떨어지더라도 처음 가입할 때 약정된 연금이 죽을 때까지 계속 지급되고 수급자가 일찍 사망하더라도 배우자에게 평생 지급되거나 남은 금액은 자녀에게 상속됩니다.
반대로 오래 사신다면 주택 가격을 초과하더라도 평생 동안 연금이 지급됩니다.
□ 공시가 5억 원 이하 부분은 재산세의 25%를 감면하는 등의 세제 혜택도 있습니다.
모르면 손해보는 8월부터 시작하는 정책들
8월부터 시작하는 정책들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최근 새로운 정책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8월부터 시작하는 정책들도 있고 8월부터 변경되는 정책들도 있는데 8월부터 시작하는 정책들이 무엇
www.jungbos.com
■ 주택연금 단점
□ 초기에 보증료 1.5%를 본인이 부담해야 하고 앞에서 주택을 담보로 한 대출로 본다고 말씀드린 것처럼 일부 이자를 부담하셔야 합니다.
□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이 단점인데 하지만 최초에 연금 가격을 계산할 때에 물가상승률까지 고려해서 책정한다고 합니다.
□ 집값이 상승해도 연금이 오르지 않는 것도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자녀에게 남은 금액이 상속될 경우에는 보통 경매로 집을 처분하는데 경매는 실거래가보다 조금 낮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이때 상속받는 자녀가 원한다면 직접 주택을 매각할 수 있어서 혹시라도 미래에 큰 폭으로 집값이 오른다면 자녀가 더 혜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
기초생활수급자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먼저 수급자 선정의 기본인 중위소득과 기준 중위소득이 무엇인지 알려 드리고 기초생활수급자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
www.jungbos.com
주택연금 해지 후 재가입
■ 작년에는 주택연금을 해지하신 분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집값이 그만큼 많이 올랐기 때문에 해지하신 것 같습니다.
집값이 많이 올라서 해지하는 것이 이득이라고 판단하고 해지할 경우에는 그동안 받은 연금과 이자를 일시불로 납부하셔야 하고 이후 3년 동안 재가입이 안 되며 3년 이후에 다시 가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사를 가면 바로 재가입도 가능합니다.
■ 따라서 주택연금을 받고 있다가 갑자기 주택 가격이 수억 원이 올랐다면 연금과 이자를 부담하더라도 해지를 하시고 집을 파시는 겁니다.
집을 파신 다음에 차익을 남길 수 있는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시면 다시 주택연금을 바로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주택연금 신청방법
■ 주택연금 신청은 신청인이 주택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사를 방문해서 하실 수도 있고 인터넷으로 하실 수도 있습니다.
※ 주택연금 신청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주택금융공사 가입 안내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조회방법, 주택연금 장점과 단점, 주택연금 해지 후 재가입, 주택연금 신청방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분들에게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댓글